About Bind
home
📈

Carey

직무
User Squad Lead

안녕하세요, 캐리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애슬러의 유저사이드 PO를 맡고 있는 한승윤(캐리)입니다. 카이스트에서 cs(컴퓨터과학)을 공부하다가 자연스럽게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어요. 바인드에 입사해서 1년 정도는 백엔드 개발을 했고, 현재는 유저사이드 스쿼드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PO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지만 특정 역할에 갇혀있기보다는, 필요할 때마다 임팩트 중심으로 DA, DE, 개발자, 서비스 기획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바인드에 합류한 이후 가장 많이 달라진 점이 무엇인가요?

저를 이미 알고 있던 사람들이 바인드 합류 이후에 "사람이 바뀌었다"라고 많이 얘기해주시는데, 마인드셋 자체가 많이 바뀐 것 같아요. 인간적으로도, 비즈니스를 바라보는 시야도 많이 성장했습니다.
예전에는 제가 개발하는 기능 중심으로 사고하고, 개발의 안정성과 효율성 위주로 생각하고 소통했어요. 최근에는 제가 하고 있는 비즈니스가 무엇인지, 그를 위해 어떤 기능을 만들어야 하는지, 이 일을 하는 사람의 마인드는 어떨지에 대해서도 함께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예전엔 개발만 생각하는 너드였는데, 이제는 비즈니스와 사람을 모두 생각하면서 일하는 사람이 되었어요.

가장 크게 성장했다고 느낀 순간이 있었나요?

개발과 PO 업무를 하면서 가장 확실하게 느낀 건, 과거의 업무를 보고 스스로 부끄러워질 때였어요. 6개월 전의 제 코드나 기획서를 보면서 "지금이면 그렇게 안 했을 텐데"라고 느끼는 순간들이죠. 물론 스타트업에서는 속도를 위해 의도적으로 기술 부채를 쌓기도 하지만, 과거의 제가 한 업무를 봤을 때 지금은 더 잘 타협할 수 있을 것 같다는 감정이 들어요.
또 하나는 주변 동료들의 평가예요. 스스로는 변화를 알아차리기 힘든 순간도 있는데, 주변에서 구체적으로 피드백을 줄 때가 있거든요. "캐리 기획의 뾰족함이 굉장히 좋아졌다", "설득력이 정말 좋아졌다" 등등. 서로 계속 호흡을 맞추는 동료들이 해주는 솔직한 피드백을 통해 종종 성장을 느끼곤 합니다.

처음엔 어려웠지만 지금은 잘하게 된 일이 궁금해요

부끄럽지만 커뮤니케이션 능력인 것 같아요. 초반에는 제가 생각하기에도 말이 안 통하는 너드 공대생에 극 T 성향으로, 팀원들과 마찰을 빚거나 비효율적으로 소통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던 것 같아요. 제 의도가 잘못 전달되거나 팀원의 말을 잘못 이해하기도 했고요.
지금도 매우 잘한다고는 할 수 없지만, 상대방을 생각하며 제 의도를 잘 전달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 덕분에 예전에 비해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많이 줄었어요. 이 대화를 왜 하는 건지 항상 인지하고, 마지막엔 항상 결론을 내리고 정리하는 게 습관이 되었습니다.
또 하나는 기획 능력이에요. 개발만 하던 시절에는 맥락이 주어져 있고 그걸 구현하는 역할을 맡았었는데, PO를 맡은 이후로는 맥락을 만드는, 기획을 하게 되었거든요. 처음에는 저도 막막하고 완성도가 떨어지는 기획을 많이 만들었는데, 좋은 팀원들과 함께 시행착오를 반복하며 그 능력이 많이 성장한 것 같아요.

바인드에서만 경험할 수 있었던 특별한 배움과 성장 기회가 있었나요?

첫 번째는 "커머스"에서 "새로운 유저 집단"의 포문을 연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특별한 배움의 기회라고 항상 느껴요. 커머스는 시장 규모가 크고 오랜 시간 연구되었으며, 현재도 경쟁이 치열한 분야죠. 그래서 기존의, 그리고 최근 잘하는 플레이어들의 행동을 보고 'why'를 생각하며 얻어갈 수 있는 부분이 많았어요.
반대로 중년 남성이라는 새로운 유저 집단을 저희가 타겟하다 보니, 답을 구할 수 없는 영역도 많습니다. 아예 새로운 패턴을 연구하고 시도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건 어디에서도 해답을 구할 수 없거든요. 그래서 제가 지금껏 경험한 유저들을 통해 내린 가설을 토대로 실험하면서 시원하게 깨지기도 하고, 다른 커머스 플랫폼에서는 통하지 않을 실험이 성공하기도 하면서 많이 배운 것 같아요.
두 번째는 완전한 솔직함 아래에서 프로덕트에 진심인 팀원들과 토론하고 피드백하는 환경 자체였어요.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고 싶다는 이념은 똑같지만, 그 방법은 조금씩 다르게 생각하는데, 그 의사소통을 오랜 시간 치열하게 반복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어떤 회사는 top-down으로 소통보다는 빠른 일처리에 집중하기도 하고, 어떤 회사는 끝없는 토론만 하다가 배포 자체가 늦어지기도 하는데, 바인드는 그 중심에서 아주 적절히 균형을 맞춘 것 같아요.
세 번째는 디캠프의 훌륭한 멘토분들이에요. 디캠프가 스타트업 성장을 위해 배치 프로그램(멘토링)을 진행하고, 저희도 그 과정에 선발되어서 여러 멘토분들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저는 특히 대한민국에서 손꼽히는 그로스해커인 심슨님과 스타트업 극 초기부터 유니콘까지 다 경험하신 PM 및 컨설팅 전문가인 댄 박님에게 많은 도움을 받았어요.
심슨님에게는 그로스 마인드셋, 빠른 실험 iteration과 분석 방법론, marketing-tech 등에 대해서 많이 배울 수 있었고, 댄 박님에게는 전사적 전략 및 OKR 구축, user segmentation, product managing 방법론 등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정말 빠르게 PO로서 성장할 수 있었어요.

앞으로 바인드에서 어떤 모습으로 더 성장하고 싶은지 궁금해요

저는 아직 마음이 많이 열려있어요. 항상 대한민국에서 동년배 중 최고의 PO가 되는 것을 목표로 생각하고 살고 있거든요. PO라는 게 워낙 하는 일과 방법에서 범위가 넓고, AI가 진화하는 요즘에는 더욱 넓어지고 있는 상황이라 구체적인 정의는 어렵다고 생각해요.
제가 가진 강점인 tech, data, 그리고 AI 및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적응력을 바탕으로 큰 임팩트를 내려고 노력할 것 같아요. 일반적으로 개인은 J커브를 그리는 조직 성장의 속도를 못 따라간다고 하는데, 저는 최대한 끝까지 따라가볼 생각입니다. 앞으로도 훌륭한 분들이 바인드에 계속 들어올 거고, 전 그 훌륭한 팀원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동료가 항상 될 거예요.

바인드 유저를 관찰하거나 마주했을 때 기억에 남은 경험이 있으신가요?

바인드 유저는 항상 신기한 것 같아요. 어떨 때 보면 제 주위에 있는 20대 남성 같기도 하면서, 어떨 때는 아빠처럼 느껴져요. 유저를 직접 인터뷰하거나 전화하거나, 실험을 통해 데이터로 볼 때마다 놀랐던 적이 많아요.
인터뷰하면서 느낀 건 생각보다 패션에 관심이 큰 유저들이 많다는 거였어요. 근데 그게 20대와는 문법이 다르더라고요. 자신만의 패션 철학이 분명하게 존재하고, 그것에 목말라하는 게 느껴졌어요.
많은 UX/UI 실험을 하면서 느낀 건, 귀찮음을 정말 싫어한다는 거였어요. 정말 직관적으로 "이렇게 해"라고 알려주는 기능일수록 잘 통하는 경우가 많았고, 표현이 조금이라도 비직관적이면 무시당한 적이 많았거든요. 그래서 퍼널(유저의 행동 단계) 하나 줄이는 효과의 임팩트가 클 때가 많았고, 일반적인 커머스라면 이 정도의 결과는 절대 보지 못했을 거라고 생각해요.